2010년 4월 29일 목요일

스테레오 타입

아래는  "스테레오 타입" 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설명한 야후 사이트의 내용입니다.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한번 읽어보시면 아마 저처럼  여러가지 생각이 들것 같습니다.



고정적·선입견적인 사회적 관념. <판에 박힌 형(型)>이라고 번역된다.

W. 리프먼이 그의 대표적인 저서 《여론(1922)》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이래, 사회심리학뿐만 아니라 널리 사회과학상의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그는 이 개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대 개의 경우,  우리는 먼저 보고 나서 정의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정의를 내리고 나서 본다. 외계(外界)의 어떤 방도도 없고 떠들썩한  혼란 속에서 우리는  문화가 이미 정의를 내린 것을 선택하고 문화가 유형화한 그대로 그 선택된 것을 지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타입이란, 특정한 문화에  의하여 미리 유형화되고 사회적으로도 공유(共有)된 고정적인 관념 내지 이미지를 말한다.
그 특징으로는
① 너무  단순화되어 있다는 점
② 불확실한  정보나 지식에 기초해서 과장되고, 종종 왜곡되게 일반화 내지 범주화했다는 점
③  호오(好惡)·선악(善惡)·정사(正邪)·우열(優劣) 등 강력한  감정을 수반하고 있다는 점
④ 새로운 증거나 경험과 마주쳐도 쉽게 변용되기 어렵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인간이 왜 스테레오타입을 고집하는가에  관하여 리프먼은 2가지 이유를 들었다.
하나는 인간의 환경적응에서 스테레오타입의 경제성 때문인데, 스테레오타입에 의하지  않고 일상생활의 모든  사물을 새로 상세하게 지각하려고 하면 막대한 노력이 필요하고 잇따라 일어나는 일들을 생각하면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또  하나는 스테레오타입의  체계는 아이덴티티(동일성)의 핵심이며 자아방위(自我防衛)의 메커니즘 바로 그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완벽한 세계상은  아니지만, <세계에 관한  질서이든, 많든 적든 시종일관된 화상(畵像)>이며 인간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것, 정상적인 것, 의지할 바가 되는 것의  매력>을 가지며,  <일단 익숙해지면 늘 신던 신발처럼 마음에 쏙 드는> 것이다.

그 결과 스테레오타입을 동요시키는 것은  무엇이든 인간의 존재기반 그 자체에 대한  공격이 되며 인간의 자존심에 상처를 입히는 것이 된다. 스테레오타입이 단순히 엉클어지고 기준치가 없는 현실을 대신하는 질서의 대용품이라  하더라도, 현실로 가는 첩경도 없고 가치규범이나 도덕이 담긴 신념체계인 한, 스테레오타입의 체계는 사회전통의 유효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사람들이 지배적인 스테레오타입을 수용하지 않고 거부한다면 반도덕적·반사회적이라는 낙인을 그들에게 찍고 비난과  공격을 퍼부으며 제재를 가해도  정당화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런 정통성 때문에 사람들은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규범적인 순종과 동조를 보인다.

현대사회에서는 매스컴이  스테레오타입의 배양기 및 증폭기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